[질문]-제가 상속포기 하면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없나요?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상속포기를 준비중에 있는데요.
다른것은 걱정이 안되는데 사망보험금 때문에 걱정입니다.
어제 저랑 친한 설계사 언니랑 같이 밥을 먹었는데 언니가 그러네요.
보험금은 상속재산이 될 수도 있고 상속재산이 안될 수도 있다구요.
FC교육 받을 때 들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기억이 안난다고 하면서 저한테 알아 보고 상속포기 하라고 해서요.
그래서 변호사님께 여줘보고 상속포기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변호사님께서 상속포기를 대신 해 주실수도 있나요?
이래저래 걱정 되어서 그냥 변호사님께 맡기면 걱정 안해도 될 거 같아서요.
변호사님 좀 알려주세요.
[답변]
저희 다정 법률상담소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드리겠습니다.
선생님의 질문글을 정리 하면 2가지 질문으로 압축되어 지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 질문을 정리하면,
1. 선생님이 상속포기를 해도 보험금을 수령하실 수 있는지?
2. 상속포기를 변호사무실에 위임 할 수도 있는지?
로 보입니다.
1번 질문에 대한 답변:
사망보험금은 법정상속인 각자의 고유재산이기 때문에 상속포기와 상관없이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사망보험금은 상속재산이 아니고 피상속인의 재산 중에서 상속인에게 상속되는 재산을 말합니다. 따라서 사망보험금은 피상속인의 재산이 아니라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금이기 때문에 상속재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선생님께서 아버님(피상속인)의 재산에 대해서 법원에 상속포기를 신청하여 인용이 된다고 하더라도 피상속인 명의의 사망보험금을 수령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사망보험금 재산의 성격은,
첫번째 보험금청구권이 상속인의 고유재산인지, 아니면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인지가 문제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의 상속인을 보험수익자로 하여 맺은 생명보험계약에 있어서 피보험자의 상속인은 피보험자의 사망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보험수익자의 지위에서 보험자에 대하여 보험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고, 이 권리는 보험계약의 효력으로 당연히 생기는 것으로서 상속재산이 아니라 상속인의 고유재산이라고 할 것이다.”라고 하여(대법원 2004. 7. 9. 선고 2003다29463 판결), 상속인의 보험금청구권은 상속재산이 아니라 상속인의 고유재산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생명보험의 보험계약자가 스스로를 피보험자로 하면서, 수익자는 만기까지 자신이 생존할 경우에는 자기 자신을, 자신이 사망한 경우에는 '상속인'이라고만 지정하고 그 피보험자가 사망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 보험금청구권은 상속인들의 고유재산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이를 상속재산이라 할 수 없다(대법원 2001. 12. 28. 선고 2000다31502 판결).”고 판시하여 보험계약자가 보험수익자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속인의 보험금청구권을 상속인의 고유재산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친의 사망으로 인한 보험금은 상속재산이 아닌 상속인의 고유재산이므로 상속포기신고를 하였더라도 수령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세금은 성격이 조금 다른데, 사망보험금은 피상속인이 살아 생전 소유한 재산이 아니기 때문에 원래의 상속재산 정의에는 맞지 않으나, 피상속인이 사망하면서 사망보험금이라는 재산이 확정되고 상속인이 그 사망보험금을 획득하기 때문에 세법은 실질적인 상속재산이라고 보고 사망보험금에 대해서도 상속세를 과세하고 있습니다.
2번 질문에 대한 답변:
네 가능하십니다. 사무실로 연락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상속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아버지 재산중에 오래된 도자기(골동품)가 있는데 한정승인 할때 이건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2) | 2025.07.24 |
---|---|
[질문]-고인 명의 카드 빚이 많은데 이걸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3) | 2025.07.23 |
[질문]-한정승인 상속목록재산 문구는 어떻게 쓰나요? (7) | 2025.07.21 |
[질문]-한정승인을 준비중인데 정리보류 지방세가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 2025.07.17 |
[질문]-장모님이 돌아가셨는데 저도 상속을 받을 수 있을까요? (1)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