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지식]-상속세 계산방법



출처 : 다정 법률상담소→→→▷▷▷무료상담받기◁◁◁
상속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상 속 재 산 가 액
(―) 공과금,장례비,채무,감정평가비용
(―) 상 속 공 제
= 상 속 세 과 세 표 준
(×) 세 율
= 산출세액

(1) 상속재산의 평가
상속받은 재산의 가액은 상속개시 당시의 시가로 평가하되,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울 때에는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합니다.
○ 토지:개별공시지가
○ 건물:국세청 기준시가 (공동주택, 상업용 건물, 일반건물 등에 대하여 국세청장이 매년 산정·고시하는 가액)
(2) 공과금 등
상속재산가액에서 차감하는 공과금 등의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공과금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이 납부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서 상속인에게 승계된 조세·공공요금·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합니다.
② 장례비용
다음각호의 금액을 합한 금액으로 합니다.
1. 피상속인의 사망일부터 장례일까지 장례에 직접 소요된 금액
(그 금액이 1,000만원을 초과하면 1,000만원까지만 공제하며 그 금액이 500만원에 미달하여도 500만원을 공제해 줍니다)
2. 납골시설의 사용에 소요된 금액
(그 금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면 500만원까지만 공제합니다. )
③ 채 무
상속개시당시 피상속인이 부담하여야 할 채무로서 상속인이 실제로 부담하는 사실이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입증되는 것을 말합니다.
1.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금융기관에 대한 채무는 당해 기관에 대한 채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2. 기타의 채무는 채무부담계약서, 채권자확인서, 담보설정및 이자지급에관한 증빙 등에 의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3) 상속공제

(4) 감정평가비용 등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하여 상속재산을 감정기관이 평가함에 따라 수수료를 지급한 경우 당해 수수료를 과세표준에서 차감하여, 그 대상수수료와 한도금액은 아래과 같습니다.
1. 감정법인 평가수수료 : 500만원 한도
2. 평가위원회 평가수수료 : 감정법인 평가수수료를 포함하여 1천만원 한도
(4) 세 율
○ 상속세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대를 건너 뛴 상속에 대한 할증과세
할아버지가 바로 손자에게 상속하는 것과 같이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자녀를 제외한 직계비속인 경우에는 산출세액에 다음의 금액을 가산합니다. (대습상속의 경우는 제외)
산출세액 × (피상속인의 자녀를 제외한 직계비속이 상속받은 재산가액 / 총 상속재산가액) × 30 %
※ 대습상속 :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전에 사망한 경우 그 직계비속이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 사망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되는것을 말함
출처 : 다정 법률상담소→→→▷▷▷무료상담받기◁◁◁
'상속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류분]-상속분과 유류분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0) | 2014.12.17 |
---|---|
[상속분쟁]-상속권-망인의 직계존속이 상속한 후 나타난 ‘혼인외 출생자’-혼인 외의 출생자가 부의 사망 후 인지의 소에 의하여 친생자로 인지받은 경우 피인지자보다 후순위 상속인인 피.. (0) | 2014.12.17 |
[상속세]-상속세절세-부동산 상속과 상속세 계산 절세방법 (0) | 2014.12.17 |
[생명보험금]-상속을 포기했을 경우 생명보험금은 누가 가질 수 있나요? (0) | 2014.12.16 |
[상속재산분할]-불성립-형제들과 상속재산분할 협의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 방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0) | 2014.12.16 |